0 1 2 7

청기사파

청기사파 靑騎士派
Der Blaue Reiter(독)

다리파*와 함께 독일 표현주의의 주요한 유파로서, 이 명칭은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1866~1944)와 마르크Franz Marc가 1912년에 피퍼Piper 서점에서 간행한 잡지 《청기사》에서 유래됐다. 이 잡지는 1911년 6월부터 계획되고 9월에 계약이 체결되었으며 그해 가을에 작가와 음악가 등 공동 협조자들의 도움을 받아 편집 작업을 했다.
1909년에 만들어진 뮌헨의 신미술가협회*가 원류지만, 위 사람 외에 야블렌스키Alexej von Jawlensky(1864~1941), 뮌터Gabriel Münter, 클레Paul Klee(1879~1940), 쿠빈Alfred Kubin, 막케August Macke 등이 포함되며, 후에는 프랑스의 브라크Georges Braque(1892~1963), 루소Henri Rousseau(1577~1640) 등의 작품도 독일에 소개되어, 범(汎) 유럽적인 운동으로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1911년 12월 8일 탄하우저Thanhauser 화랑에서 선언문과 전시를 주관하고, 청기사파라는 동일 명칭을 사용했다. 제1차세계대전의 발발에 의해 청기사파는 자연 해산되었고, 막케는 1914년에, 마르크는 16년에 전사했다. 이 파의 경향은 색채에 상징적인 의미를 주고, 독일 고대의 낭만적 심성을 화면에 형상화하는 것으로, 제작자의 내면 표현을 존중함으로써 추상화로의 길을 가게 된다.
단 괴기적이고 환상적인 내용을 담은 오스트리아 쿠빈의 화풍은 전반적인 청기사파의 작가들에 비해 이색적이라 할 수 있다. 이 그룹은 칸딘스키의 정신성, 마르크의 종교성에 의해 주도되어 추상표현주의의 모태가 되었으며, 이들의 작품은 최초의 추상이라 평가될 수 있다.

청년연맹

청년연맹 靑年聯盟
Alliance of Youth(영)

1909년 러시아의 페테르스부르크에서 구성된 전위 화가 협회. 1910년에 설립된 부브노브이 발레트*와 유사한 단체이다. 서구, 특히 뮌헨 지향적인 이 청년 연맹의 첫 전시회는 1910년에 개최되었는데, 페테르스부르크의 화가들만이 출품했다. 출품 화가 중 가장 중요한 화가로는 필리노프, 올가, 로사노바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같은 해 오데사의 블라디미르 이즈데프스키 화랑에서 개최된 두번째 전람회에서는 라리오노프, 곤차로바, 부를류크 형제들과 같은 모스크바 화가들의 작품도 전시되었다. 또한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1866~1944)(그는 52점의 작품을 출품했다), 야블렌스키Alexej von Jawlensky(1864~1941), 뮌터Gabriel Münter 등이 포함된 뮌헨파의 여러 회원들의 작품도 전시되었다.
칸딘스키가 처음으로 모스크바 그룹의 화가들과 접촉을 갖게 된 것도 오데사에서였다. 이 청년 연맹은 또한 러시아 미래파*의 중심이 되었다. 1913년 11~12월까지 루나 파크 극장에서 마지막 전시회를 개최했는데, 여기에는 미래파적이고 연극적인 작품들이 출품되었다.

청대 미술

청대 미술 淸代美術

만주족은 송화강 유역의 황무지에 나라를 세우고 7년 뒤 누르하치는 수도를 봉천奉天으로 옮기고 국호를 명明에 상응하는 청淸이라고 하였다. 1644년 북경北京으로 쳐들어오고 있던 반란군의 두목 이자성李自成(리 츠즈엉)을 몰아내기 위해 명의 장군 오삼계吳三桂가 도움을 청하자 만주족은 이 요청을 즉시 받아들여 이자성을 몰아내고 수도까지 점령하였다. 만주족은 중국문화를 깊이 숭상하였고, 중국의 관료계급제도에도 의지하여 국가를 다스렸다. 그들은 명대(明代)의 유교 전통을 이어받고자 노력하였으며,《고금도서집성古今圖書集成》(1729)이나 1773년부터 9년에 걸쳐 3만6천권에 달하는 백과전서인 《사고전서四庫全書》도 출간하였다. 그러나 만주족은 유교사상 가운데 가장 보수적인 면에만 집착하여 사상이 시대에 맞게 발전하지 못한 점도 있었다.
17~18세기에 유럽과 중국은 서로간의 교류가 활발하였다. 유럽에서는 처음 17세기말에, 두 번째는 18세기 중엽에 두 차례나 중국취향(쉬노아즈리)이 유행하였다. 중국측에서는 1601년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Matteo Ricci가 중국에 온 이래 황제를 위시하여 황제 측근이나 학자들은 서구의 학예와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
이에 따라 회화분야에서는 특히 화원화가들을 중심으로 사실주의적인 명암법*과 원근법*을 습득하려고 노력하기도 하였다. 또한 청대(淸代)는 유난히 옛 것을 숭상하여 고전을 연구하고 고고학을 배우고 책, 문서, 그림, 도자기, 고대 청동기 수집이 유행하였다. 특히 건륭제乾隆帝는 수집광이었다. 건륭제가 1796년 양위하면서 내부적인 균열이 생기고 유럽 열강들의 침략이 가중되면서 청의 황금시대는 그 막을 내렸다. 이후 아편전쟁, 중국을 개화시키려 했던 태평천국난의 실패를 거쳐 1911년 국권이 실추되는 비극적 종말을 맞이하였다.
건축:청의 태조太祖 누르하치(재위 1619~1926)는 16세기말부터 발흥했지만, 청대 초기로 볼 수 있는 건축 유적은 천명 10년(天命, 1626)에 천도한 심양瀋陽에 집중되어 있다. 〈심양고궁〉은 그 대표적인 예이며, 태조의 복릉福陵, 태종太宗(재위 1626~1643)의 소릉昭陵도 이에 속한다.
청은 일찍이 몽골 민족의 영향을 받아 라마교를 믿었으며, 태종 때 차하르察哈爾 지방으로부터 원대(元代)에 주조되었다고 생각되는 금동마카라상을 모시는 연화 정토의 실승사實勝寺, 호국을 위해 심양성 밖의 동쪽에 영광사永光寺, 남쪽에 광자사廣慈寺, 서쪽에 연수사延壽寺, 북쪽에 법륜사法輪寺를 세우고, 각 절에 대형의 마탑 1기를 건축하였다. 순치 원년(順治, 1644) 이자성의 반란을 계기로 청의 군대는 산해관山海關을 돌파하여 북경에 입성하면서 천도를 단행하고 반란 때문에 황폐해진 명의 자금성紫禁城 복구를 시작으로 각 지방에서도 명의 문화를 그대로 답습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윽고 청의 조정이 굳건해지자, 성조제聖祖帝의 강희 연간(康熙, 1662~1722) 무렵부터 북경에 〈창춘원暢春園〉을 만들었고, 옥천산玉泉山과 향산香山에도 이궁(離宮)을 축조하였다. 제5대인 옹정제雍正帝(재위 1722~1735), 제6대 건륭제(재위 1736~1795)는 왕이 상주하는 〈원명원圓明園〉 〈장춘원長春園〉 〈기춘원綺春園〉 〈청이원淸頤園〉 등을 만들었다.
이렇게 이궁을 지어 왕이 상주하는 것은 명대에는 없었던 특이한 경향인데, 함풍 10년(咸豊, 1860)에 영국와 프랑스의 군대가 침략했을 때 소실되었다. 그 후 본래의 자리에 〈이화원頤和園〉이 세워져 예전의 면모를 살필 수 있다. 열하熱河의 승덕承德에 있는 강희, 건륭 무렵에 세운 〈열하피서산장熱河避署山莊〉은 황폐된 채 남아 있다.
청조는 천도한 후 제일 먼저 북경에 라마교* 계통의 동황사東黃寺(1651)와 경화도瓊華島의 라마탑을 세웠다. 외관은 재래의 사관과 동일하며 내부만 특색있게 만들어졌는데, 대체로 강희 연간까지 계속되었으며, 옹정 연간(擁正, 1723~1735)에서 건륭 연간에 이르면 티베트* 계통의 건축이 출현하기 시작하여 열하 승덕의 보타종승지묘普陀宗乘之廟나 수미복수묘修彌福壽廟와 같은 대규모의 복사(複寫)가 지어졌다.
내몽골과 외몽골에 중국 계통의 라마교 사원이 세워진 것도 강희 이후이며, 티베트 외관의 절이 보급된 것은 청대 후기였다. 유럽 건축의 영향을 일찍 받은 곳은 광주廣州와 같은 무역항이다. 북경에서는 교회당이 처음 세워졌으며, 건륭 초기에는 〈원명원〉의 분수와 함께 바로크*양식의 건축물이 지어졌다.
이들 건축은 19세기 청조가 쇠퇴하는 혼란기때 모두 소멸되었지만 서양 양식의 〈원명원〉은 당시의 동판화*와 유적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대체로 강희 연간까지 북경으로 천도한 후 황제들의 능묘는 북경의 동북방과 서남방 두 곳에 동릉과 서릉이 만들어졌다. 동릉은 북쪽으로 만리장성을 넘어선 흥륭현興隆縣에 있는데, 세조世祖, 성조聖祖, 고종高宗, 문종文宗, 목종穆宗의 다섯 황제의 능과 여러 후비의 능을 조성하였다. 서릉은 역현易縣에 있으며, 세종世宗, 인종仁宗, 선종宣宗, 덕종德宗의 네 황제의 능과 후비들의 능이 있는데 명대 황제들의 능묘제도를 그대로 답습하여 조성하였다. 그리고 청조에는 옹정 9년(1731) 《공정주법工程做法》, 가경 20년(1815)에 《공부칙례工部則例》를 출판하여 북경형(北京型) 건축 시공기준을 제시했기 때문에, 북경형이 각 지방의 주류가 되어 지방적 특징은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불상:초기에는 심양에 〈황사黃寺〉(1838), 북경에 〈동황사〉(1651)라는 라마교 사원이 건축되었다. 본존을 중심으로 17세기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과거, 현재, 미래불이 안치되어 있다. 불상*의 모습은 명의 전통을 계승하여 균형이 잘 잡혀 있으면서 인체의 묘사도 자연스럽고 단아하다. 불상이 가장 활발하게 조성된 시기는 강희, 옹정, 건륭제에 걸친 18세기이다.
강희 52년(1713)의 부인사溥仁寺 본전本殿의 삼세불, 2보살, 2비구, 18나한에는 라마교의 영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북경의 옹화궁雍和宮(1723)은 라마교의 절로서, 21m가 넘는 목조미륵대상이 주목거리다. 심양의 보녕사普寧寺는 건륭 20년(1755)에 건립된 사찰인데, 이 내부에는 삼불三佛 . 18나한, 36비관음상이 안치되어 있다. 그러나 상의 모습은 살집이 딱딱하고 생기가 없어 불교조각의 퇴화를 보여준다. 청대의 불상 조성은 일반 민중의 소망이 반영되어 선(禪)의 수행을 쌓은 나한의 염불 대상인 아미타불*을 포함하는 여러 부처, 현세의 괴로움을 구원하는 관음보살*이 많이 만들어졌다.
회화:명말 청초에는 각지에서 문인화가가 많이 배출되어 남종화*의 전성기를 이루었다. 이들 중에 동기창董其昌(똥 치츠앙, 1555~1636)을 이어받은 소위 정통파들인 왕시민王時敏(우앙 스민, 1592~1680), 왕감王鑑(우앙 지엔, 1598~1677), 왕휘王絮(우앙 후에이, 1632~1717), 왕원기王原祁(우앙 위앤치, 1642~1715)가 있다.
왕시민은 황공망黃公望(후앙 꽁왕, 1269~1454)의 폭넓고 여유있는 화풍을 선호하였다. 왕시민의 절친한 친구이며 제자였던 왕감은 원대(元代) 문인화의 거장들을 본받아 역시 의고풍(擬古風)의 그림을 그렸다. 왕휘는 황공망, 동기창, 왕시민 등에 의해 새로운 의미를 부여받았던 위대한 고전적인 대가들의 양식을 변형시켰다. 왕원기는 4왕 가운데 가장 재능이 뛰어나고 독창적인 화가였다.
이들 정통적인 문인화파들 이외에 개성파 화가들도 있었다. 이들은 가장 창조적인 청대 초기의 60여년간을 주도했던 화가들로 팔대산인八大山人(빠따르산르언, 1625~1705), 석도石濤(스 타오, 1641~1717) 등이 있다. 팔대산인은 승려로서 세상과 등진 태도를 보였으며 당시의 회화예술에 대해서도 그러한 작풍이 배어 있다. 기운찬 감필로 제작된 그의 산수화*는 남종화의 전통을 창조적으로 변형시킨 동기창의 화법을 지니고 있었다. 서너개의 휩쓰는 듯한 필선으로 그린 그의 그림에는 자유분방한 묵희(墨戱)의 맛이 잘 나타나 있다.
석도는 일생을 승려로 보낸 독실한 불교도로, 만년에는 남경南京에 있던 큰 절의 주지를 지냈다. 덤불로 문지른 것처럼 메마른 필치로 제작된 그의 산수화에는 젊은 시절 강남의 여러 지역을 여행하면서 얻은 자연에 대한 시적 감흥이 잘 나타나 있다.
건륭 연간에 강소성江蘇省 양주揚州의 경제적 번영을 중심으로 양주팔괴*揚州八怪의 개성적 화가도 주목된다. 일반적으로 양주팔괴라고 하면 금농金農(진농), 황신黃愼(후앙 선), 이방응李方膺(리 황잉), 고봉한高鳳翰(까오 힁산), 왕사신王士愼(우앙 스선) 등이 포함된다. 이들은 모두 개성을 중시하고 감흥을 솔직하게 나타내어, 기교를 버리고 자유분방하게 붓을 휘둘렀다. 이들 양주팔괴의 화풍은 근대의 해상파*에 연결되었다.

청록산수

청록산수 靑綠山水

여러 종류의 안료로 채색된 산수화*. 산을 청색 계열과 녹색 계열로 채색했기 때문에 생긴 명칭이다. 먼 산은 군청색 계열로, 앞쪽의 주산(主山)은 녹청 계열로 채색되는데, 산꼭대기나 산주름의 능선에는 녹청 위에 다시 군청을 덧칠하는 일이 많으며, 금니(金泥)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벽산수*라고 부른다.
이사훈李思訓(리 쓰쉰), 이소도李昭道(리 사오따오) 부자에 의해서 양식적으로 완성된 명확한 구륵선(鉤勒線)에 의한 산수와, 명말(明末)의 일부 화가에 의해서 부흥된 몰골(沒骨)*에 의한 산수는 청록산수의 특색이라고 할 수 있다. 수묵산수화가 보편화된 당말(唐末) 이후로 청록산수는 회고적, 복고적인 회화로 취급되어 회화에 복고의 바람이 불 때마다 당대(唐代)의 청록산수는 그 전거가 되었다.

청명상하도

청명상하도 淸明上河圖

중국 풍속화*의 한 화제(畵題). 청명절(淸明節, 춘분을 지나 15일 후인 4월 5, 6일경 되는 날로 교외에서 노닐고 성묘를 하는 명절)에 흥청거리는 도성의 인파를 화권형식(畵卷形式)으로 그린 것이다. 북송北宋의 장택단張擇端(즈앙 치뚜안)이 <청명상하도>(1120년경, 북경 고궁박물원)를 그린 것에서 비롯된 화제이다.
장택단의 <청명상하도>는 수도 변경汴京을 흐르는 변하汴河를 사이에 두고 교외 시내(川) 배 다리 성문 시가 등이 순서대로 보이고, 술집 상점 노점 상인 우마차 및 군중 등이 배치되는 형식으로 이루어졌다. 원근법*을 이용하여 사진처럼 정확하고 사실적인 풍경을 재현해냈다. 중국 풍속화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되는 이 그림은 송대(宋代)의 인물풍정과 사회적 번영을 사실주의*적 화풍으로 그려내고 있다.
당시 및 후세에도 많은 영향을 미쳐 원元 명明 청淸을 거쳐 수많은 모본(摹本)이 성행하였다. 특히 명, 청대에 제작된 것이 많은데, 이 작품들은 소주蘇州 부근의 불특정한 풍경으로 변화되어, 점포를 늘어놓는 방식 잡기(雜伎) 황성내의 용주탈표(龍舟奪標) 등 세부적인 도안의 모양이 정해져 있다. 명의 조절趙浙이 그린 작품(岡山美術館), 구영仇英(처우 잉)의 작품(東京 大倉集古館), 청의 심원沈元의 작품(대북 고궁박물원), 화원합작본(대북 고궁박물원) 등이 있다.

청백자

청백자 靑白磁

→ ‘경덕진요’ 참조

청자

청자 靑磁 celadon(영)

철분이 조금 섞인 백토를 빚어 1~3% 정도의 철분이 섞인 유약*을 입혀 1,250~1,300도에서 환원염으로 구워낸 푸른 빛의 자기*. 때로는 산화해서 황록색, 황갈색이 나타나기도 한다. 중국의 회유에서 발달한 것으로, 원시적인 청자는 중국의 한대(漢代)부터 만들어졌다. 초기에는 절강성浙江省 북부를 중심으로 생산되었는데, 당唐나라 이전까지 절강성의 덕청德淸과 구엄九嚴의 가마군에서 제작된 회녹색의 원시청자를 ‘고월자古越磁’라 부른다. 이후 차차 발전하여 화남華南, 화북華北에서 두루 제작되었다.
당말(唐末) 오대(五代), 오월(吳越)시대의 월주요*는 아름다운 조화(雕花)가 있는 비색청자(秘色靑磁)를 양산하여 화북 및 해외에 수출하였다. 송대(宋代)에는 절정을 이루어 중국 각지에서 청자를 만들었고 특히 복건성福建省, 절강성, 광동성廣東省의 해안지역에서 많은 요지가 발견되었다.
송대의 요주요耀州窯 , 여관요汝官窯, 용천요*, 월주요의 청자가 유명하다. 청대(淸代)의 경덕진요*에서는 송, 명대(宋明代) 청자의 모조품 제작이 성행했다. 베트남의 청자는 중국 송대 남부 청자의 영향을 받았는데, 13~14세기경 많이 만들어졌으나 산화해서 노란색을 띤 청자였다.

→ ‘고려청자’ 참조

청전화숙전

청전화숙전 靑田畵塾展

청전 이상범李象範의 문하에서 수업했던 배렴裵濂(1911~1968), 심은택沈銀澤(1875~1939), 이현옥李賢玉(1909~ ), 정용희鄭用姬(1914~?), 박원수朴元壽(1912~ ), 이건영李建英(1927~?) 등 1930년대의 등단 작가들과 1933년경 개방되었던 청전화숙의 학생들이 주도되어 1941년부터 매년 1회씩 총 3회에 걸쳐 개최했던 전람회. 김은호金殷鎬 문하의 후소회*後素會와 함께 1930년대 근대 화단에 영향을 미쳤다.

청죽화사

청죽화사 聽竹畵史

조선후기 문인 남태응南泰膺(1687~1740)의 문집인 《청죽만록聽竹漫錄》의 별책에 실려 있는 화평. 남태응은 윤두서尹斗緖나 김진규金鎭圭, 심사정沈師正(1707~1767), 정선鄭敾(1676~1759) 등 당대의 화가들과 활발한 교류를 가지면서 화가들에 대한 품평, 작품에 대한 비평 등을 하였는데 그 안목이 높고 내용이 체계적이어서 대표적인 조선시대 화론을 제기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는 조선 초, 중기 이래의 화론을 섭렵하고 자신의 비평적인 견해를 중심으로 <화사畵史>라는 화론을 피력하였다. 청죽화사의 내용은 <화사> <삼화가유평三畵家喩評> <화사보록畵史補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화사>는 조선초기 고인顧仁부터 윤두서까지 역대 명화가들의 특징을 자신의 입장에서 서술한 것이다.
<삼화가유평>은 김명국金明國(1600~?), 이징李澄, 윤두서를 신품(神品), 법품(法品), 묘품(妙品)의 화가로 분류하고, 그 특징과 장단점을 비평적으로 기록한 것이다. <화사보록>은 <화사>에 실리지 않은 내용을 보완한 것으로 신사임당申師任堂, 어몽룡魚夢龍, 유덕장柳德章 등 역대화가들에 대한 품평들이 주를 이룬다.

청초사고승

청초사고승 淸初四高僧

홍인弘仁(훙 르언, 江韜), 곤잔髡殘(쿤 찬, 劉介丘), 팔대산인八大山人(빠따르산르언, 朱耷), 석도石濤(스 타오, 朱若極)를 말함. 이들은 모두 명말(明末)의 유민(遺民)으로, 주답과 석도는 명의 황실과 관계된 사람들인데 나중에 출가하여 중이 되었다. 이들은 모두 선학(禪學)에 깊은 조예가 있어 글씨와 그림에 각기 독특한 솜씨와 경지를 보여주었다. 곤잔의 호는 석계石谿(스 시)로 석도와 함께 ‘이석(二石)’으로 불리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