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가람

가람 伽藍 sanghārāma(범)

불교사찰을 총칭하거나 단순히 사찰 내의 전당을 일컫는 용어. 원래 승단(僧團, sanghas)이 거주하는 원림(園林, ārama)이란 뜻. 인도어의 한역인 승가람마(僧伽藍摩)를 줄여서 가람이라고 한다.
인도에서 가람은 비구(比丘)의 주거인 승방(僧房)과 재가신앙(在家信仰)의 대상인 스투파*를 중심으로 하는 구역으로 나뉜다. 또한 석가의 사리(舍利)와 그것을 담았던 그릇, 화장에 사용한 숯 등을 10등분하여 인도의 10개 종족국에 보관하기 위해 스투파라는 반원형의 무덤을 만든 것이 불교사찰의 효시가 되었다고 한다. 불교가 종교로서 안정되고 번영하자 스투파는 대형화, 장식화되었으며, 기원전 2세기부터는 석굴사원이 유행하였다.
중국은 2세기 말부터 주로 탑을 중심으로 가람이 조성되었다. 3~4세기경에는 불사리 신앙이 유행하여 탑에 불사리를 봉안하고 그 밖에 불전*(佛殿)을 설치하여 회랑*으로 주위를 두르는 일탑식 가람배치가 성립되었다. 가람배치는 전통적인 궁전누각 형식을 취했으며 건축의 세부에서만 인도나 중앙 아시아의 영향을 볼 수 있다.
6세기에 저술된 《낙양가람기洛陽伽藍記》에는 북위의 수도 낙양에 있던 가람들의 모습을 서술하고 있는데, 가령 영녕사永寧寺의 가람은 경내 중심부에 9층탑이 있고 탑의 북쪽으로는 불상을 모신 불전이 있으며 탑과 불전의 주변에는 회랑이 둘러져 있고 회랑에는 동서남북에 각각 문이 있었다고 한다.
한국에서는 고구려 가람으로 청암리靑岩里 절터가 팔각형의 탑 건물을 중심으로 세 개의 금당지가 있다. 백제가람의 전형적인 모습은 소위 일탑식 가람으로 문, 탑, 금당, 강당의 남북선상에 일직선으로 놓였는데, 남쪽의 문에서부터 북쪽의 강당까지를 장방형 회랑으로 둘렀다. 대표적인 예로 부여의 정림사지定林寺址, 금강사지金剛寺址 등이 있다. 금당의 전면에 탑이 좌우로 나란히 놓이는 것을 쌍탑식 가람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통일신라시대에 많이 세워졌다. 쌍탑식 가람의 대표적인 예로는 경주 불국사와 감은사지感恩寺址 등이 있다. 고려 이후 특히 조선시대에는 산지사원山地寺院의 건립이 성행하면서 전통적인 배치원칙이 변형되어 탑과 주불전을 중심으로 누각이나 기타 건물들을 배치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