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대한민국미술전람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 大韓民國美術展覽會

1949년부터 1981년까지 총 30회 동안 이어온 한국의 관전(官展). 약칭 ‘국전(國展)’이라고도 한다. 8•15 해방 직후 신진작가를 많이 배출하여 최고의 권위와 영예를 누렸으며 한국 미술계의 역사와 영욕을 같이했다. 국전은 1947년 미군정청 문교부가 조선종합미술전을 개최한 것이 처음이었으며 1948년 정부수립 기념전을 계기로 정부가 주도하게 되었다.
정부는 문교부(현 문화관광부) 고시 제1호에 의해 기존에 조선총독부가 주관했던 <조선미술전람회*(朝鮮美術展覽會, 약칭 鮮展)>의 규약을 모태로 국전제도를 규정했다. 초기에는 운영을 문교부에서 주관하고 심사위원 및 간사직에 문교부 공무원을 임명하도록 함으로써 철저한 정부 통제하에 있었으나, 그 뒤 주관부처가 문화공보부로 옮겨지고 심사위원장도 순수 미술인이 맡았다.
그러나 자유민주주의 이념아래 민족미술을 널리 알리고 능력있는 신인을 발굴한다는 취지 아래 실시된 국전은 실제로 보수적인 아카데미즘에 의해 주도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일정하게 특선을 거듭하면 추천 작가로 승격시키고 심사위원이나 초대작가가 될 수 있는 기회도 주었다. 이러한 국전 경력은 학력에 상관없이 대학교수나 교사 채용의 자격으로서 문교부가 보장하는 등 관전체제가 갖는 부작용이 발생하기도 했으며 심사위원들 사이에 파벌이 생겨 심사과정에서 잦은 마찰을 빚기도 하였다.
반면 1970년대부터는 화단에서 비구상(非具象) 양식이 득세하고 신문사와 민간단체가 주관하는 민전(民展)이 생겨났으며 외국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작가들이 늘어나 국제전에 출품할 수 있는 기회가 넓어짐에 따라 국제전의 참여경력이 중시되면서 이것이 주목을 받게 되었다. 또한 원로 작가들의 사망, 은퇴 등으로 심사위원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지면서 국전폐지론이 고개를 들었다.
이에 주관부처는 서울에서 전시하던 이전까지의 관례를 깨고 전국 순회전을 가짐으로써 관람객 확대를 꾀하고 일부 평론가 및 심사위원을 영입하는 등 변화를 모색했으나 1981년 제30회를 끝으로 국전은 막을 내렸다. 이어서 한국문화예술진흥원이 주관하는 <대한민국미술대전大韓民國美術大展>이 열렸으며 이 전람회는 1986년부터 사단법인 한국미술협회가 주관하게 되어 오늘에 이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