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문인화

문인화 文人畵

전문적인 직업화가가 아닌 시인이나 학자 등 사대부 문인이 여기(餘技)로 그리는 그림의 총칭. 처음 ‘문인의 그림(文人之畵)’이라는 말을 쓴 사람은 명대(明代) 말기의 동기창董其昌(똥 치츠앙, 1555~1636)인데, 그 계보는 왕유王維(우앙 웨이, 699~759)로부터 시작하여 동원董源(똥 위앤), 거연巨然(쥐 르안), 이성李成(리 츠엉), 범관范寬(환 쿠안), 이공린李公麟(리 꽁린, 1040~1106), 미불米芾(미 후, 1051~1107), 원사대가*(元四大家), 문징명文徵明(원 즈엉밍, 1470~1559), 심주沈周(선 저우, 1427~1509)로 이어진다. 그러나 이들 역시 직업화가의 화풍을 따라 그리기도 했으므로 신분상의 구분을 하나의 일관된 기준으로 삼기는 어렵다. 따라서 근래에는 사군자*(四君子) 같은 사대부들의 교양으로 여겨지던 화제나, 사의*(寫意)에 중점을 둔 간일하고 격이 높은 화풍을 지닌 그림을 가리키기도 한다.
시서화일체 사상(詩書畵一體思想)과 정신세계의 표출을 중시한 문인화 이론은 소식蘇軾(쑤 스, 1036~1101)을 중심으로 고취되었으며 명대 중기 이후 직업화가를 압도하여 화단을 독점하였다. 또한 직업화가의 양식을 북종화*(北宗畵)라 부르고, 그들 자신의 화풍을 남종화*(南宗畵)라 칭하였다. 그런데 동기창이 말하는 ‘문인의 그림’ 계보에 속하는 화가는 남종화의 화가들과 큰 차이가 없다. 여기에서 문인화와 남종화의 혼동이 생겨나고, 문인화는 남종화와 같은 의미의 용어로 여겨졌다. 남종문인화라고 하여 구분없이 사용하고 있는 추세이지만 구분을 하자면 남종화는 주로 산수화*에 국한하여 사용하는데 비하여 문인화는 산수화는 물론 사군자, 화조화* 등 모든 화과(畵科)에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