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육기

육기 六氣

중국 화론(畵論)의 용어. 청대(淸代)의 추일계鄒一桂(처우 이지에, 1686~1772)가 《소산화보小山畵譜》에서 주장하였다. 추일계의 자(字)는 원포(元褒, 原褒)이고 호(號)는 소산(小山)이다. 화훼와 산수 초상을 겸하여 그렸는데, 특히 화훼를 잘 그렸고 화훼 이론서인 《소산화보》를 저술하였다. 그는 《소산화보》에서 “그림에선 육기(六氣)를 피해야 한다. 첫째는 속기(俗氣)로 시골여자의 화장 같은 것이고, 둘째는 장기(匠氣)로 교묘하긴 하지만 신운(神韻)이 없는 것이고, 셋째는 화기(火氣)로 붓자루가 있긴 하지만 붓끝이 너무 노출된 것이고, 넷째는 초기(草氣)로 너무 조잡하여 문기(文氣)있고 아취있는 기색이 없는 것이고, 다섯째는 규각기(閨閣氣)인데 묘사한 선들이 너무 부드럽고 약해서 골력(骨力)이 전혀 없는 것이고, 여섯째는 축흑기(蹴黑氣)로 멋모르고 함부로 창작하는 것이니 도저히 참을 수 없는 것이다”라고 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