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아미타불

아미타불 阿彌陀佛
Amitabha(범)

서방 극락정토에 살면서 중생을 위해 자비를 베푸는 부처. ‘무량수불(無量壽佛)’ 또는 ‘무량광불(無量光佛)’이라고도 한다. 《무량수경無量壽經》에 따르면, 법장이라는 비구가 48대원(四十八大願)을 세웠는데, 그 중 18번째 서원에서 자신이 부처가 되면 그를 믿고 그의 이름을 부르는 사람들이 그가 건설한 정토에 태어나서 열반에 이를 때까지 복을 누리며 살게 하겠다고 맹세했다. 법장은 자신의 서원을 모두 이룬 뒤 아미타불로서 서방 극락정토를 주재하게 되었다고 한다. 《무량수경》외에 정토삼부경으로 《관무량수경觀無量壽經》 《아미타경阿彌陀經》이 있다. 아미타불은 대승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부처로 정토사상의 발달과 함께 중국, 한국, 일본 뿐만 아니라 인도 및 서역 등에서도 일찍부터 널리 퍼졌던 것 같다.
그러나 인도에서는 아직 조상(彫像)의 예가 발견되지 않았으며, 중국의 경우는 650년경 신앙이 널리 유행하기 시작하여 7세기 후반에는 상(像)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그 형상에는 단독상과 삼존상이 있는데, 보통 아미타9품인(阿彌陀九品印)의 손 모양을 취하고 좌우에는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이 표현되는 것이 특징인데 시간이 흐르면서 대세지보살 자리에 지장보살*이 등장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한국에서는 신라 선덕여왕 때 자장慈藏이 《아미타경소阿彌陀經疏》를 저술하면서 아미타불을 신앙하게 되었고 현재 많은 작품이 남아 있다. 그 중에서 통일신라시대*의 〈경주 구황동九黃洞 황복사皇福寺 3층석탑 출토 금제아미타불좌상〉을 비롯하여 〈감산사甘山寺 석조아미타불입상〉 〈불국사佛國寺 금동아미타불좌상〉 등이 단독상으로서 유명하다.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에는 아미타불을 불화*로서 많이 제작하였는데, <독존도獨尊圖> <아미타삼존도三尊圖> <아미타구존도九尊圖> <극락회상도> 등이 있다.
또한 왕생자를 극락으로 인도하기 위하여 왕생자를 맞이하러 오는 장면을 묘사한 <아미타내영도(來迎圖)>, 《관무량수경》의 내용을 도해한 관경변상도가 있다. 관경변상도는 마가다왕궁 왕사성王舍城에서 일어난 부자 사이의 왕권쟁탈에 얽힌 비극적인 내용을 그린 <관경서품변상도觀經序品變相圖>와 마가다왕국의 왕비 위데휘韋提希에게 아미타불 및 그 세계를 관상하는 16가지 방법을 표현한 <관경십육관변상도觀經十六觀變相圖>로 나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