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 사실주의
사회주의 사실주의 社會主義寫實主義
Socialist Realism(영)
1934년 제1회 소비에트 작가협회에서 공식적으로 주창된 창작이론 및 방법으로 이후 반세기 동안 구소련의 미술과 문학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로 작용하였다. 혁명 후의 구소련에서는 사회주의 사실주의와 변증법적 유물론을 결합하여 고유의 예술 원리를 발전시킴으로써 예술을 통해 스탈린이나 레닌 같은 지도자의 정치적 찬양 혹은 당의 엄격한 문화 정책에 의한 혁명의 미래상이나 공동체 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했다.
조형예술에 적용된 사회주의 사실주의는 정치에 종속된 수단으로 미술이 프롤레타리아 계급에 봉사하고 현실을 역사적 발전 속에서 사실적으로 포착하려는 경향이다. 미술 작품은 당이 부여한 기본적 의무에 부응해야 하며, 혁명의 발전 속에서 구소련의 현실을 인민에게 정확히 전달해야 하는 것이 그 목적이었다. 즉 사회주의 사실주의에서 예술은 미래지향적이고 당파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했던 것이다. 상부 구조의 일부인 예술은 집단적 의식이라는 이데올로기 교육을 위한 수단인 동시에 자본주의에 대한 사회주의 체제의 계급투쟁의 무기였다.
사회주의 사실주의는 정치적인 주제의 변증법적인 묘사와 반(反)추상을 지향하였고, 모더니즘*을 형식주의*로 비난하는 한편 당파성이 없는 사실주의*를 자연주의*로 간주하여 부정하였다. 따라서 형식상의 추구는 철저히 배제되었으며, 중요한 것은 정치적 주제와 기교였다. 사회주의 사실주의 회화와 조각 작품들은 이에 입각하여 적극적이고 용맹한 노동자들과 농부들을 이상화하여 그려냈다. 1930년대 말에는 레핀Ilya Répine(1844~1930)과 수리코프Vassily Sourikov(1848~1916)를 선두로 한 ‘러시아 사실주의의 계승’이 합법적인 국가 기준으로서 부각되었고, 이는 즈다노프Andreii Zhdanov가 주도하였던 1950년대 중반까지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후 많은 이론적 정립을 거쳐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사비츠키Konstantin Savitski 등의 작가들을 중심으로 새롭게 쇄신된 사회주의 사실주의가 등장하였다. 제2차세계대전 이후에는 소비에트 이데올로기의 영향 하에 놓인 모든 공산국가들이 사회주의 사실주의를 예술 생산의 토대로 삼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