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사회적 사실주의

사회적 사실주의 社會的寫實主義
Social Realism(영)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주로 미국과 멕시코에서 제작된 좌익 정치미술* 운동으로서, 특히 1930년대 미국의 경제 위기를 통해 부각되었다. 사회적 사실주의 작가로는 벤 샨Ben Shahn(1898~1969), 에버굿Philip Evergood(1901~1973), 잭 레빈Jack Levine(1915~ ), 그로퍼William Gropper(1897~1977) 등 주로 마르크시즘에 경도된 화가들이 많았다. 이들은 추상을 무책임한 양식이라고 간주하면서 계급투쟁이나 사회부조리, 소외된 하층민의 생활상 등을 주제로 구상회화를 제작함으로써 자본주의에 대항하였다. 또한 정치적인 회합을 위하여 석판화*와 특히 깃발, 선동적인 문구의 포스터*를 제작했으며, 《새로운 대중들The New Masses》이라는 정기간행물에 그림과 삽화를 싣기도 했다.
그러나 사회적 사실주의는 어떤 특정한 하나의 양식을 지칭하는 용어는 아니며 그 범위도 미국뿐만 아니라, 멕시코의 민중화가인 리베라Diego Rivera(1886~1957)와 오로츠코Jose Clemente Orozco(1853~1949)의 벽화시리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제2차세계대전 이후에는 동구권 국가에도 적용되었지만, 전후에 좌파가 영향력을 상실하면서 동시에 몇몇 평론가와 화가들에 의해 격렬한 비판을 받았다.
한편 오늘날의 사회적 사실주의는 노동자 계층을 다룬 진부하고 사실주의적인 작품으로 나이나 지식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미술 작품을 경멸적인 의미로 부르는 용어로 그 뜻이 바뀌었다. 이러한 의미의 사회적 사실주의는 사회주의 사실주의*와 혼동되곤 하는데, 반드시는 아니지만 구소련과 중국, 북한 같은 공산주의 국가와 결부되는 경우가 많다.

→ ‘사회주의 사실주의’ 참조

사회주의 사실주의

사회주의 사실주의 社會主義寫實主義
Socialist Realism(영)

1934년 제1회 소비에트 작가협회에서 공식적으로 주창된 창작이론 및 방법으로 이후 반세기 동안 구소련의 미술과 문학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로 작용하였다. 혁명 후의 구소련에서는 사회주의 사실주의와 변증법적 유물론을 결합하여 고유의 예술 원리를 발전시킴으로써 예술을 통해 스탈린이나 레닌 같은 지도자의 정치적 찬양 혹은 당의 엄격한 문화 정책에 의한 혁명의 미래상이나 공동체 의식을 고취시키고자 했다.
조형예술에 적용된 사회주의 사실주의는 정치에 종속된 수단으로 미술이 프롤레타리아 계급에 봉사하고 현실을 역사적 발전 속에서 사실적으로 포착하려는 경향이다. 미술 작품은 당이 부여한 기본적 의무에 부응해야 하며, 혁명의 발전 속에서 구소련의 현실을 인민에게 정확히 전달해야 하는 것이 그 목적이었다. 즉 사회주의 사실주의에서 예술은 미래지향적이고 당파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했던 것이다. 상부 구조의 일부인 예술은 집단적 의식이라는 이데올로기 교육을 위한 수단인 동시에 자본주의에 대한 사회주의 체제의 계급투쟁의 무기였다.
사회주의 사실주의는 정치적인 주제의 변증법적인 묘사와 반(反)추상을 지향하였고, 모더니즘*을 형식주의*로 비난하는 한편 당파성이 없는 사실주의*를 자연주의*로 간주하여 부정하였다. 따라서 형식상의 추구는 철저히 배제되었으며, 중요한 것은 정치적 주제와 기교였다. 사회주의 사실주의 회화와 조각 작품들은 이에 입각하여 적극적이고 용맹한 노동자들과 농부들을 이상화하여 그려냈다. 1930년대 말에는 레핀Ilya Répine(1844~1930)과 수리코프Vassily Sourikov(1848~1916)를 선두로 한 ‘러시아 사실주의의 계승’이 합법적인 국가 기준으로서 부각되었고, 이는 즈다노프Andreii Zhdanov가 주도하였던 1950년대 중반까지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후 많은 이론적 정립을 거쳐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사비츠키Konstantin Savitski 등의 작가들을 중심으로 새롭게 쇄신된 사회주의 사실주의가 등장하였다. 제2차세계대전 이후에는 소비에트 이데올로기의 영향 하에 놓인 모든 공산국가들이 사회주의 사실주의를 예술 생산의 토대로 삼았다.

사회학적 미술

사회학적 미술 社會學的美術
art sociologique(프)

1960년대말 프랑스에서 등장한 연구 동향. 사회학적 미술의 주요 대표자로는 포레스트Fred Forest, 피셔Hérve Fischer, 테노Jean-Paul Thénot, 스니에르Alain Snyers 등이 있다. 이들은 대중화 과정에서 야기된 일상의 삶과 문화 사이의 단절, 개인적 소외감, 특수 지식의 집중화 등 현대 사회의 위기상황을 직시하였다. 따라서 미술도 이제는 전위가 되는 것보다, 사회적 현실과 직접 관련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주장을 폈다.
이같은 목적을 실행하기 위해서 포레스트는 1969년부터 비디오를 이용하고 1972년에는 신문과 TV, 라디오 등의 대중매체를 통해 독자와 관객의 반응을 조장하고 이를 작품에 포함시켰다. 이처럼 사회학적 미술은 대중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대화 방법의 토대 위에서 작품의 근간을 구축하고 있으며, 1980년 이후에는 몇 권의 《카이에Cahiers》를 출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