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1 2 7

아르 누보

아르 누보 Art Nouveau(프)

‘새로운 미술’이라는 뜻으로, 19세기말에서 20세기초에 걸쳐 서유럽 전역 및 미국에까지 넓게 퍼졌던 장식적 양식. 아르 누보라는 명칭은 1895년 파리에서 반 데 벨데Henry van de Velde(1863~1957)가 내부 장식한 빙Siegfried Bing의 공예품점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같은 양식을 지칭하는 말로 모던 스타일(Modern style, 영), 유겐트슈틸*(Jugendstil, 독, 오), 스틸레 리바티(Stile Liberty, 이), 귀마르 양식(Guimard Style, 프) 등 나라마다 다양하다.
아르 누보의 탄생은 유럽의 전통적 예술에 반발하는 당시 미술계의 풍조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중세적인 수공예 정신의 복귀를 선언했던 모리스William Morris(1834~1896)의 미술과 공예운동*, 빅토리아 시대의 인습에 반항하고 초기 르네상스의 우아함과 색채를 재생하려 했던 라파엘전파*, 아카데미*에 순응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신비하고 계시적인 태도로 작업했던 블레이크William Blake(1757~1827) 등이 그 기원이다.
19세기 후반에 유행처럼 번졌던 아카데믹하고 절충주의적인 ‘역사주의’에 대한 반발로 나타난 아르 누보 운동은 과거의 전통 양식들을 모방하거나 변형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하나의 새로운 양식을 창출하고자 했다. 종래의 건축이나 공예가 그 전형을 그리스, 로마 혹은 고딕으로부터 구한 것에 비해 아르 누보 작가들은 모든 역사적인 양식을 부정하고 자연에서 모티브*를 빌려 새로운 표현을 얻고자 했다.
특히 덩굴손이나 담쟁이 등 식물의 형태를 연상케 하는 유연하고 유동적인 선과 판상, 당초, 화염 형태 등 특이한 장식성과 유기적인 움직임이 있는 모티브를 즐겨 사용했으며, 고전적인 좌우대칭이나 엄격한 구성은 배제하였다.
아르 누보 양식은 당시 상징주의*와 나비파*, 뭉크Edvard Munch(1851~1944), 툴루즈-로트렉Henri de Toulouse-Lautrec(1864~1901) 등의 미술과도 관련이 있다. 이러한 형태의 선호로 인해 견고한 구축성이나 기능을 다소 소홀히 하는 형식주의적이고 탐미적인 장식으로 빠질 위험이 있었으며 이는 아르 누보가 비교적 단명한 이유의 하나가 되기도 하였다.
아르 누보의 전성기는 1895년경부터 약 10년 동안이다. 1880년대에는 영국의 맥머도Arthur Heygate Mackmurdo(1851~1942), 미국의 설리번Louis Henry Sullivan(1856~1934), 스페인의 가우디Antoni Gaudí y Cornet(1852~1926) 등이 디자인이나 건축에서 곡선적인 형태를 많이 사용한 작품을 발표했다. 그러나 영국의 매킨토시Charles Rennie Mackintosh(1868~1928), 비어즐리Vincent Aubrey Beardsley(1872~1898), 벨기에의 반 데 벨데와 오르타Victor Horta(1861~1947), 프랑스의 가이야르Eugène Gaillard 와 파리 지하철 역으로 유명한 귀마르Hector Guimard(1867~1942), 독일의 에크만Otto Eckmann, 베렌스Peter Behrens(1868~1940) 등이 그래픽 디자인, 공예, 건축 등에서 활발히 활동하면서 아르누보는 급속히 보급되었다.
‘아르 누보 관(館)’으로서 빙의 상점이 유명해진 것도 양식의 유행에 박차를 가하는 계기가 되었다. 1897년 드레스덴 박람회, 1902년 트리노 박람회 등에서는 아르 누보의 실내장식과 가구 등 공예품 전시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1896년에는 뮌헨에서 《유겐트Jugend》지가 발간되면서 독일의 아르 누보인 유겐트슈틸 운동이 탄생하기도 했다. 그러나 1910년경부터 점차 건축과 공예의 기능과 사회성을 중시하게 되면서 라리크René Lalique의 보석 디자인, 갈레Éile Gallé의 유리공예, 미국 티파니의 공예품, 가우디의 건축 활동 등을 제외하고는 아르 누보 양식은 점차 약화돼 갔다.
훗날 장식 과잉의 매너리즘*에 빠지면서 세기말적 악취미라는 비난을 받기도 한 아르 누보는 최근 들어 재평가되고 있다. 빈 분리파*를 불러일으켰을 뿐 아니라 장식적, 상징적 표현을 고취함으로써 반인상주의적인 현대에 이르는 디딤돌이 되었으며, 특히 아르 누보의 세례를 받았던 고갱Paul Gaugain(1848~1903)과 그 주변 화가들이 추구했던 환상성은 현대미술의 전개에 새로운 길을 여는 중요한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아르 누보에 대한 관심은 파리의 초현실주의* 그룹과 1936년 발간된 펩스너Nicolas Pevsner(1902~1983)의 《윌리엄 모리스로부터 발터 그로피우스에 이르기까지의 근대운동의 선구자들》에 의해 다시 환기되기도 하였다.
1950년대 이후에도 취리히에서 열린 <아르 누보 전시회>(1952), 빅토리아 앨버트 미술관에서 열린 <빅토리아 시대 및 에드워드 시대의 장식미술 전람회>(1952~1953), 뉴욕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아르 누보 전람회>(1960) 등 여러 전시를 통해 관심이 지속되었다. 아르 누보 양식의 특성과 역사 등에 대한 연구는 슈무츨러Robert Schmutzler에 의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는데, 그는 이 양식의 주된 테마를 ‘해초나 식물의 넝쿨 따위를 연상시키는 길고 감각적이며 유연한 선’으로 규정하였다.